반응형

전체 글 139

[Unity3D] 월드 좌표계와 스크린 좌표계 이해하기 -(1)

우리가 화면을 통해 보는 유니티 3D 환경은 x, y, z 축으로 이루어진 3 차원 벡터 공간이다. 하지만 우리는 2차원인 모니터를 통해 그 3 차원 공간을 보기 때문에 마우스를 통해 좌표를 얻을때 원하는 대로 코드가 진행되지 않는다. 가장 처음 맞는 문제점은 x, y 축은 받을 수 있지만 z 축은 알 수가 없다. 또 다른 문제점은 x, y 축을 안다고 해도 실제 Unity 3D 에서 사용되는 World 좌표와 다르기 때문에 엉뚱한 곳에 좌표가 잡히게 된다. 우선 마우스의 좌표값을 로그로 찍어보면 어떤 값이 나오는지 확인해 보자. [-3.05, 14.55, 0.00] 마우스 위치가 빨간 화면에 왼쪽 밑에 두고 로그를 찍었을때에 값이다. [959.44, 537.76, 0.00] Game 에디터에 화면을 1..

Unity 2022.12.23

[Unity] 모바일 게임(조이스틱) 이동 - 터치로 화면 회전과 캐릭터 이동 구현

우선 전체적인 스크립트 먼저 올려 놓겠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PlayerController : MonoBehaviour { //왼손가락과 오른손가락에 입력값 저장 int leftFingerId, rightfFingerId; //화면을 반으로 나눠서 오른쪽은 회전을, 왼쪽은 캐릭터 이동을 float halfScreenWidth; public Transform cameraTransform; //Rigidbody가 캐릭터에 적용되어 있다면 제거해 주세요 public CharacterController charactercontroller;..

카테고리 없음 2021.10.04

Android Studio(Kotlin) - 변수 설정

Kotlin 변수 설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fun main() { val age = 23 println("I'm $age years old") } kotiln에서는 정수를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 val입니다. int와는 다르다는 것이 특이하네요! 처음에는 낯선 데이터 타입이라 헷갈렸지만 사용하다보면 금방 적응하고 더 쉬울것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예제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fun main() { val age = 23 val name = "Gric" println("Hello, My name is %name and $age years old") } c 나 c++ 언어를 공부하셨다면 분명 이 부분에서 놀라실 겁니다. 왜냐하면 정수형 데이터를 담는 데이터 타입이 val인데 ..

Android Studio 2021.09.01

Android Studio(Kotlin) - 출력 하는 법 (Hello Worl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할 때에 많이 사용하는 언어 코틀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한 출력문 입니다. fun main() { println("Hello, world!") } 코틀린은 c나 c++ 같은 언어들과 다르게 메인 함수에 반환형이 fun이라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function에 약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println( ) 함수를 사용하여 string 형식으로 글자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언어들과 다른 점은 문장이 끝난 뒤에 세미콜론을 붙여도 되고 안 붙여도 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간단한 출력문 까지 알아보겠습니다.

Android Studio 2021.09.01

[Unity] - Start() 함수와 Update() 함수

Start()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한 번만 호출이 되는 함수로 보통 컴포넌트를 받아오거나 업데이트나 다른 함수에서 사용하기 위해 초기화해 주는 기능을 한다. Update() 매 프레임 마다 호출이 되는 함수로 자신의 컴퓨터가 60 프레임이라면 초당 60번 실행이 되는 함수이다. 게임 실행에 필요한 함수들은 update() 함수에서 실행하도록 코딩한다.

Unity 2021.08.31

[c++]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이해

c++은 객체지향 언어이다. 따라서 우리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과 대상, 그리고 그에 따른 행동을 있는 그대로 실체화시키는 형태의 프로그래밍이다. 라고 할 수 있다. 좀 추상적이니 다시 설명하자면 프로그램을 설계 하고 작성하는데 자신이 구현하고자 하는 전체적인 목표에 있어 하나하나에 객체(object)에 상태 절보와 하나 이상의 행동(기능)을 담아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객체지향은 4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추상화 캡슐화 상속화 다향성 객체지향은 큰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물론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하기에 좋다. 그 이유로는 객체마다 자신에게 부여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수정과 업데이트에 ..

c++ 2021.08.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