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39

언리얼 매크로 함수들 이해하기 - UPROPERTY() && UFUNCTION() && UCLASS()

UPROPERTY() - 에디터나 블루프린터상에 변수를 노출시키고 싶을 때 사용한다. UFUNCTION() - 블루프린터에서 함수를 불러올 수 있게 한다. UCLASS(Blueprintable) - 클래스 액터를 참조하는 블루프린트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ex) // Fill out your copyright notice in the Description page of Project Settings. #pragma once #include "CoreMinimal.h" #include "UObject/NoExportTypes.h" #include "MyObject.generated.h" /** * */ UCLASS(Blueprintable) class MINIMAL_DEFAULT_API UMyOb..

Unreal 2023.01.01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오브젝트 움직이기 C++

언리얼 공식 문서에 있는 따라하기 컨텐츠를 정리하여 올린 글입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처음으로 할 것은 인풋을 감지할 키를 정해줘야 합니다. Edit > Project Settings 에 들어갑니다. Setting > Input 을 눌러 Bindins 에서 필요한 키들을 등록해 줘야 합니다. Action Mappings는 어떠한 동작을 바로 발동시키도록 실행하는 작업에 대한 키를 등록합니다. - Grow를 통해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오브젝트에 크기가 커지도록 구현해 보겠습니다. - Dash를 통해 시프트 키를 누르면 오브젝트에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현해 보겠습니다. Action Mappins 는 지속적 폴링에 의해 값이 서서히 증가/증감 시킵니다. - MoveX를 통해 앞 , 뒤 이동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Unreal 2023.01.01

[C++] 생성자 (Constructor)

생성자를 생성하면 객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초기화할 수 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SimpleClass { private: int num; public: SimpleClass(int n)// 생성자 (constructor) { num = n; } int GetNum() const { return num; } }; int main() { SimpleClass *Simple = new Simple(23); } 생성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클래스의 이름과 함수의 이름이 동일하다. - 반환형이 선언되지 않으며, 실제로 반환하지 않는다. main() 함수 안에서 동적할당 시 객체 생성과 동시에 생성자를 초기화하는 법을 보여준다. 생성자의 활용으로는 - 생성자도 함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