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체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시작하기 전에 우선 구조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구조체는 클래스에 개념을 가진 자료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물체를 표현할때 그 함수 안에 물체에 특징을 담아 변경이 용이하고 재상용이 가능한 객체지향의 특성을 가진 자료형이다.
예를 들어 몬스터를 표현하고자 하고 그 몬스터가 여러마리가 있다고 한다면
struct Anermy{
{
int num [5];
int hp=30;
int mp=30
int spd=12;
int at=30;
}
이런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나중에 이 구조체를 갖고 와서 다른 몬스터를 체력이나 공격력만 다르게 바꿔서 쓸 수 있고 여러마리에 몬스터를 배열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구현 할 수있다.
구조체를 다른 함수에서 불러와서 원하는 값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nermy.hp=40.;
간단하다.
물론 구조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게임을 못 만드는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것 들과 같이 만든 이유가 분명 있다.
내 생각에는 조금이라도 편리하게 하라고 만들었을 것이다.
이런 자잘한 스킬들이 모여서 깔끔한 코딩이 완성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구조체는 게임 코딩하면서 정말로 많은 곳에서 사용이 될 것 같다.
자주 사용해 보고 어느 부분에서 사용하면 객체지향의 특성을 잘 살려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며 익숙하게 사용 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
반응형
'개발관련 지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모리 공간 ( 힙, 스택, 데이터) (0) | 2022.12.29 |
---|---|
업데이트 루프란?? (0) | 2021.08.29 |
ANR이란? (0) | 2020.09.05 |
UI 와 UX (0) | 2020.09.05 |
프로세스와 쓰레드 (0) | 202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