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oid Aschicode() {
char character;
cin >> character;
int asc =int(character);
cout << asc;
}
key point는 char로 받은 데이터 타입을 int(변수)를 사용해서 형변환을 해 주는 것이었다.
문자를 정수형태로 형변현을 하면 자동으로 아스키코드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알고리즘 > 백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08 - 상수 (2) | 2022.12.28 |
---|---|
1157-단어공부 c++ (0) | 2022.12.26 |
2675-문자열 반복 (0) | 2022.12.25 |
10809-알파벳 찾기 (2) | 2022.12.24 |
11720 - 숫자의 합 (0) | 2022.12.24 |